반응형
Notic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oday
Total
관리 메뉴

이것 저것 여러 후기

2023 KB부동산 보고서 - 2023년 수도권 주택시장, 상업용 부동산 전망, 부동산 이슈 본문

부동산스터디

2023 KB부동산 보고서 - 2023년 수도권 주택시장, 상업용 부동산 전망, 부동산 이슈

U반장 2023. 3. 6. 23:06
반응형
2023 KB 부동산 보고서_최종.pdf
4.67MB

 

KB경영연구소

www.kbfg.com

[목차]
I. 2022년 주택시장 진단과 2023년 전망 
1. 2022년 주택시장 진단과 2023년 전망 
2. 주택시장 연착륙 가능성 점검 
3. 주택시장 7대 이슈

II. 주택시장 설문조사 
1. 2023년 주택시장 전망 
2. 2023년 투자 유망 부동산 진단 
3. 고자산가의 투자 성향과 관심 부동산

III. 수도권 주택시장 점검

IV. 상업용 부동산시장 전망

V. 심층분석 리포트  
  국제비교를 통한 한국 가계부채의 구조적 특징 및 안정성 점검

어제 3월 5일(일) KB경영연구소에서 발표한 '2023 KB부동산 보고서'입니다.
지난 2022년에 일어났던 주택시장에 대한 현황과 진단 관련 보고와
주택시장에서 일어난 7가지 이슈 사항, 설문조사를 통한 2023년 주택시장 전망 등의 보고입니다.
 
제가 일하면서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보고가 몇 가지 필요했는데요.

상업용 부동산도 전반적인 금리 인상에 대한 타격과 유동성 감소 등에 인한 거래량이 감소한 바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가격 상승폭이 감소했죠.
우측 하단에 국토부 실거래 자료를 보시면 침체진입 쪽에서 아예 침체기 쪽으로 방향을 틀어버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 거래량이 줄어드니 비수도권 거래량도 동시에 줄었네요.

자세한 내용은 해당 파일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전문적으로 부동산을 분석하는 KB에서 내놓은 2023년 보고서이니 만큼 얻어가는 내용이 많을 겁니다.
이 보고서만 열심히 읽어도 부동산 정보의 반은 얻어가시는 겁니다.

위 이미지는 지역별 아파트 구매자 연령대별 비중과 서울 아파트 구입 시 필요 자금 규모를 나타낸 표입니다.
먼저 왼쪽 그래프를 보시면 주로 30대가 공격적으로 구매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다음은 40대,  그다음으로는 50 대군요. 결론적으로 부동산 구매의 주고객층은 3040대인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죠.
반면 20대 이하의 거래량도 무의미하지만은 않습니다. 20대 이하 매수인도 어느 정도 수요가 있다는 말이거든요.

오른쪽 그래프는 서울 아파트를 구입 시 필요한 자금의 규모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부동산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데에 비해 대출 가능 금액은 거의 비슷합니다. 반면 자기자본으로 확보해야할 금액은 커지고 있어, 아파트를 매수할 때 부담해야할 금액은 큰 편입니다. 이 부분은 피부로 와닿을 정도로 다들 잘 아실 겁니다.
대출 규제와 관련한 법이 개정됨에 따라 점차 완화되어 갈 예정이지만 DSR, LTV, DTI의 위치는 여전합니다.
대출 규제를 완화하여도 개인의 소득이나 가계대출비중, 담보가치의 비율은 보겠다는 뜻이 되는 거죠.

유의미한 자료이니 꼼꼼하게 확인하시고 2023년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잘 읽어보세요. 앞으로의 시장상황과 투자의 미래가 보일 겁니다.^^

반응형
Comments